국가직 대비 총정리
어휘
문1.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As the debate intensified, the candidate began to equivocate, trying to avoid giving a direct answer that might alienate certain voters.
① clarify
② hesitate
③ lie
④ evade
문2.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Although she had once supported the policy, she later made a vehement argument against it, accusing it of being unfair and damaging to the community.
① indifferent
② impassioned
③ reluctant
④ timid
문3.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The scientist’s theory was initially dismissed, but years later, it gained credence as new data supported her early findings.
① criticism
② rejection
③ belief
④ confusion
문4.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He tried to appease the angry customer with a full refund and a sincere apology, hoping to prevent the situation from escalating.
① ignore
② console
③ provoke
④ pacify
문5. 밑줄 친 부분과 의미가 가장 가까운 것을 고르시오.
Rather than confronting the issue directly, the committee decided to take a more circumspect approach, carefully weighing the potential risks of every option.
① reckless
② cautious
③ careless
④ decisive
문법
문1.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The police officers ① who arrived at the scene were surprised to find that the suspect ② has already escaped through the back door. Despite their efforts, no one ③ was able to explain exactly how he had managed ④ to slip away unnoticed.
① who arrived at the scene
② has already escaped
③ was able to explain
④ to slip away unnoticed
문2.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lthough the technology ① has existed for decades, only recently ② it became affordable enough for widespread use. Many experts agree that this change ③ will lead to a revolution in how we ④ interact with digital environments.
① has existed
② it became
③ will lead
④ interact
문3. 다음 문장에서 어법상 옳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If she would study more, she could pass the exam easily.
② It is vital that every applicant submits their documents before the deadline.
③ He suggested that the team is taking a short break.
④ Neither of the answers were considered acceptable.
문4.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fter the committee members ① had reviewed all the proposals, they ② chooses the one that seemed most feasible. The final decision ③ was based not only on cost but also on the potential ④ for long-term success.
① had reviewed
② chooses
③ was based
④ for long-term success
문5. 다음 중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을 고르시오.
① 그는 내가 회의 시간에 늦을지도 모른다고 걱정했다.
→ He was worried that I might be late for the meeting.
② 우리는 휴가 중에도 이메일을 확인해야 했다.
→ We had to check our emails even during the vacation.
③ 나는 네가 곧 회복하길 바란다.
→ I hope you recover soon.
④ 그녀는 나에게 거기서 기다리라고 말했다.
→ She told me to waiting there.
문6.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The lecturer emphasized that ①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is crucial in today’s globalized world. He ② also pointed out that failing to acknowledge these differences ③ have led to numerous misunderstandings ④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① understanding cultural differences
② also pointed out
③ have led
④ in international negotiations
문7.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Hardly ① had they begun the experiment ② when unexpected variables ③ interfered with the process, forcing the researchers ④ to postponed the next phase.
① had they begun
② when
③ interfered with
④ to postponed
문8.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The athlete, ① who was known for his discipline and focus, ② have broken several national records. His coach claimed that his success was due ③ not only to talent ④ but also to relentless practice.
① who was known
② have broken
③ not only to talent
④ but also to relentless practice
문9. 다음 중 어법상 옳은 문장을 고르시오.
① Had I knew about the change, I would have acted differently.
② The professor insisted that each student complete the assignment individually.
③ It is necessary that he goes to the meeting tomorrow.
④ There is many reasons to question his decision.
문10.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Every year, the foundation awards grants to researchers who ① shows promise in advancing science and technology. All applications ② must be submitted online, and incomplete forms ③ are automatically disqualified without ④ being reviewed.
① shows
② must be submitted
③ are automatically disqualified
④ being reviewed
독해
01.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Most people believe that when a new technology becomes available, it automatically leads to progress. But not all technological advances are beneficial to everyone. For instance, while the automobile has given people great mobility and freedom, it has also caused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s. Similarly, social media allows instant communication, but also contributes to mental health issu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both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new technologies before embracing them.
① 새로운 기술은 전반적으로 인간의 삶을 향상시킨다.
② 기술 발전은 환경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③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④ 소셜미디어는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02. 다음 글의 흐름상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Success often depends not only on talent or intelligence but also on the ability to persist. Many people give up when they face difficulties, but those who continue trying despite failures are more likely to achieve their goals. In other words, persistence is the key to turning failure into _____.
① discipline
② opportunity
③ distraction
④ competition
03.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Plastic pollution in the ocean is a growing concern. Every year, millions of tons of plastic waste enter the seas, harming marine life. Sea turtles often mistake plastic bags for jellyfish, which they eat and suffer from. Additionally, microplastics have been found inside fish that people consume. However, several countries are taking steps to reduce plastic use, such as banning plastic straws or charging for plastic bags.
① 해양 생물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해를 입는다.
② 바다로 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마다 수백만 톤에 달한다.
③ 몇몇 국가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④ 플라스틱 문제는 아직 사람들의 건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0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Sleep plays a crucial role in 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During sleep, the body repairs tissues and consolidates memories. Lack of sleep can lead to various health problems such as weakened immunity, depression, and poor concentration. Thus, maintaining good sleep hygiene is just as important as eating a balanced diet and exercising regularly.
①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② How to Improve Your Diet
③ Why Good Sleep Matters
④ Mental Health and Social Media
05. 밑줄 친 부분 중 문맥상 가장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Working remotely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Many people enjoy the freedom and flexibility that remote work offers. It allows them to work from anywhere and often ① helps improve their work-life balance. However, some people find it difficult to separate work from personal life, which ② leads to increased stress. Others miss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office and feel ③ isol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remote workers to establish clear boundaries and ④ ignore communication with their teams.
06.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In a world where people are constantly exposed to advertising and media messaging,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distinguish genuine needs from manufactured desires. Corporations invest billions in marketing strategies aimed at making consumers feel incomplete unless they purchase certain products. This tactic often relies on the creation of artificial problems for which the company offers a solution. As a result, consumers may begin to define happiness and success in terms of consumption, rather than personal growth or fulfillment. In such a context, the most effective way to resist manipulation is to cultivate self-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o that one can recognize when a "need" is actually being implanted. Without such awareness, __________.
① individuals can make more rational purchasing decisions
② people may fall into a cycle of endless consumption
③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oycott manipulative brands
④ businesses will lose their influence over the public
0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idea of multitasking is deeply ingrained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take pride in being able to handle several tasks at once, believing it to be a sign of efficiency and competence. However,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has shown that the brain is not truly capable of focusing on multiple complex tasks simultaneously. Instead, it switches back and forth between them, often resulting in decreased performance and increased mental fatigue. Despite this evidence, the myth of multitasking persists, largely because it creates the illusion of productivity. In reality, __________.
① dividing one’s attention increases mental clarity
② doing several things at once promotes better outcomes
③ multitasking can actually hinder both speed and accuracy
④ our brains have evolved to process various inputs efficiently
0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e phenomenon known as “groupthink” can lead to poor decision-making within organizations. It occurs when the desire for harmony or conformity in a group results in irrational or dysfunctional outcomes. Members suppress dissenting viewpoints, fail to critically analyze alternatives, and ultimately make flawed choices. This is often reinforced by strong leadership or a highly cohesive group structure. Ironically, the more cohesive and unified the group, the more vulnerable it is to this kind of flawed reasoning. To prevent this, organizations must actively encourage diverse opinions and constructive disagreement. Otherwise, __________.
① they risk alienating members with minority views
② consensus becomes easier to achieve
③ creative ideas will naturally emerge
④ the illusion of unanimity may override sound judgment
0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Humans have a natural tendency to prefer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ir existing beliefs, a phenomenon known as confirmation bias. When encountering new evidenc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notice, remember, and accept information that supports their opinions, while dismissing or forgetting contradictory evidence. This cognitive bias is particularly dangerous in the digital age, where algorithms on social media platforms reinforce this pattern by curating content based on users' preferences. Over time, this can create echo chambers, where people are only exposed to information that aligns with their views. Consequently, __________.
① users gain a balanced perspective on important issues
② the ability to engage in civil discourse improves
③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trengthens critical thinking
④ public polarization and misinformation may intensify
1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undoubtedly brought about remarkable improvements in our lives—from medical breakthroughs to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However, these benefits are often accompanied by ethical dilemmas. For instance, artificial intelligence raises questions about privacy, employment, and even the definition of humanity. Genetic editing tools allow us to correct diseases, but they also open the door to designer babies and potential abuse. The challenge lies not in halting technological progress, but in developing the moral and legal frameworks to manage it responsibly. Without such frameworks, __________.
① innovation will naturally regulate itself over time
② ethical concerns will remain theoretical and irrelevant
③ society may face unintended and irreversible consequences
④ scientific research will inevitably come to a halt
1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Throughout history, the concept of justice has evolv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In ancient times, justice was often equated with retribution, with punishments meant to mirror the severity of the crime. Over time, however, societies began to emphasize rehabilitation and fairness, recognizing that justice should also serve the purpose of restoring balance rather than merely exacting revenge. Today, the justice system faces new challenges, such as systemic inequality and over-incarceration. In order to remain relevant and effective, the system must be open to reform and guided by evolving ethical standards. Otherwise, __________.
① the legal system will become more efficient and impartial
② fairness will be consistently upheld across all cases
③ justice may be seen as outdated or even oppressive
④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will naturally increase
1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ten involves trade-offs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While industrial development can generate employment and raise living standards, it can also lead to deforestation, pollution, and loss of biodiversity. For developing nations, the tension between these goals is particularly acute, as they seek to lift their populations out of poverty without causing irreparable damage to their natural resources. This is why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green technology are essential. By sharing knowledge and supporting sustainable practices, the global community can help ensure that development does not come at the cos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Without such efforts, __________.
① economic development will automatically protect the environment
② all countries will enjoy the benefits of industrialization equally
③ the poorest regions may bear the brunt of environmental collapse
④ environmental damage will be limited to developed nations
정답 및 해설
[독해 문제 01]
문제:
Most people believe that when a new technology becomes available, it automatically leads to progress. But not all technological advances are beneficial to everyone. For instance, while the automobile has given people great mobility and freedom, it has also caused significant environmental problems. Similarly, social media allows instant communication, but also contributes to mental health issu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valuate both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new technologies before embracing them.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새로운 기술은 전반적으로 인간의 삶을 향상시킨다.
② 기술 발전은 환경 문제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③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④ 소셜미디어는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정답: ③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
해설:
이 글은 처음에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 그것이 자동으로 진보로 이어진다"는 일반적인 믿음을 소개합니다. 그러나 글의 본문에서는 자동차와 소셜미디어를 예로 들어, 기술 발전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면뿐 아니라 부정적인 면도 존재한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는 이동의 자유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환경오염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며, 소셜미디어는 즉각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지만 정신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을 언급합니다.
따라서 글의 중심 논지는 단순히 기술 발전의 긍정적 측면만을 찬양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①번 선택지는 "기술이 전반적으로 인간의 삶을 향상시킨다"는 긍정적 관점에 치우쳐 있으며, 글의 부정적 측면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합니다.
②번 선택지는 기술 발전이 환경문제를 줄인다는 내용인데, 글에서는 오히려 자동차로 인한 환경 문제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맞지 않습니다.
④번 선택지는 소셜미디어가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는데, 글에서는 부정적 영향이 언급되어 있으므로 부적합합니다.
이와 같이 글 전체를 종합해 보면, 새로운 기술이 갖는 이중성을 정확하게 반영한 ③번 "새로운 기술의 장단점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가 가장 요지를 잘 담고 있습니다.
또한, 이 문제는 독해의 핵심인 ‘전체 문맥에서 글의 주장을 파악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글에서 제시한 예시들이 모두 긍정과 부정의 양면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독자는 기술에 대한 일방적인 찬양이 아니라 균형 잡힌 평가의 필요성을 인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③번 선택지가 올바른 답변임을 확신할 수 있습니다.
글의 구조와 예시들, 그리고 결론 부분의 "따라서"라는 연결어를 통해 저자는 기술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효과 모두를 고려해야 함을 독자에게 전달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종합적 평가’로 이어지므로 ③번이 가장 타당한 선택입니다.
[독해 문제 02]
문제:
Success often depends not only on talent or intelligence but also on the ability to persist. Many people give up when they face difficulties, but those who continue trying despite failures are more likely to achieve their goals. In other words, persistence is the key to turning failure into _____.
선택지:
① discipline
② opportunity
③ distraction
④ competition
정답: ② opportunity
해설:
이 문장은 성공의 요소를 설명하면서 단순한 재능이나 지능만으로는 부족하며, '인내(persistence)'가 성공의 결정적 요소임을 강조합니다. "Many people give up when they face difficulties"라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극복하는 지속적인 노력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turning failure into _____"라는 구문은 실패를 긍정적인 것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①번 "discipline(규율)"은 꾸준한 노력과 자기 관리와 관련이 있지만, 문맥에서 실패를 긍정적으로 전환한다는 의미보다는 오히려 자기 통제의 개념에 가깝습니다.
③번 "distraction(산만함)"은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실패를 산만한 상태로 전환한다는 해석은 문장의 취지와 맞지 않습니다.
④번 "competition(경쟁)"은 실패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오히려 성공의 다른 요인으로 볼 수 있으나, 여기서의 논지는 실패를 긍정적인 결과로 전환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반면, ②번 "opportunity(기회)"는 실패를 경험을 통한 배움과 성장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는 의미를 전달합니다. 실제로 많은 경영, 심리학, 자기계발 문헌에서 실패를 성공의 발판, 즉 '기회의 전환'으로 보는 관점이 존재합니다.
문장 구조를 보면 "persistence is the key"라는 구절과 연결되어, 인내를 통해 실패를 극복하고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는 과정이 논리적으로 이어집니다. 즉, 어려움 속에서도 계속 시도하는 사람들은 실패를 단순한 좌절이 아니라 미래의 기회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맥과 논리적 흐름에 가장 잘 부합하는 선택지는 ②번 "opportunity"입니다. 인내의 힘이 실패를 단순한 좌절이 아닌,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도약의 기회로 바꾼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문장의 전체 맥락과, 각 선택지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실패를 긍정적인 기회로 전환하는 관점은 ②번이 가장 적절하며, 이는 독자가 성공의 조건으로 인내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돕는 핵심 포인트가 됩니다.
[독해 문제 03]
문제:
Plastic pollution in the ocean is a growing concern. Every year, millions of tons of plastic waste enter the seas, harming marine life. Sea turtles often mistake plastic bags for jellyfish, which they eat and suffer from. Additionally, microplastics have been found inside fish that people consume. However, several countries are taking steps to reduce plastic use, such as banning plastic straws or charging for plastic bags.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① 해양 생물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해를 입는다.
② 바다로 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마다 수백만 톤에 달한다.
③ 몇몇 국가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④ 플라스틱 문제는 아직 사람들의 건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답: ④ 플라스틱 문제는 아직 사람들의 건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해설:
이 글은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다루면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와 인간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언급합니다. 글의 초반부에서는 매년 수백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 생물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고 설명하며, 특히 바다거북이 플라스틱 백을 해파리로 오인해 섭취하는 사례를 들어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미세 플라스틱이 어류 내에서 발견되어 인간의 식탁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①번 선택지는 "해양 생물은 플라스틱 쓰레기로 인해 해를 입는다"로, 글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그대로 반영한 내용입니다.
②번 선택지는 "바다로 들어간 플라스틱 쓰레기는 해마다 수백만 톤에 달한다"인데, 이 역시 글에서 구체적인 수치와 함께 언급되어 있어 정확합니다.
③번 선택지는 "몇몇 국가는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로, 글 말미에 제시된 예시(예를 들어 플라스틱 빨대 금지, 플라스틱 봉투 요금 부과 등)와 일치합니다.
반면, ④번 선택지는 "플라스틱 문제는 아직 사람들의 건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라고 주장하는데, 글에서는 미세 플라스틱이 어류 내에 존재하여 결국 소비되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으며, 이는 간접적으로 인간의 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글에서 "어떤 사람들의 건강"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플라스틱 오염이 인간 건강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에 ④번 선택지는 글의 내용과 모순됩니다.
이 문제는 글의 세부 사항과 전체적인 흐름을 종합하여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독자는 글의 여러 예시와 통계, 그리고 정부나 국제기구의 대응 조치를 면밀히 파악함으로써, 어떤 선택지가 글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따라서, 글의 내용에서 플라스틱 오염이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 건강에도 잠재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암시한 점을 고려할 때, ④번 선택지가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정답으로 선택됩니다.
[독해 문제 04]
문제:
Sleep plays a crucial role in 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During sleep, the body repairs tissues and consolidates memories. Lack of sleep can lead to various health problems such as weakened immunity, depression, and poor concentration. Thus, maintaining good sleep hygiene is just as important as eating a balanced diet and exercising regularly.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② How to Improve Your Diet
③ Why Good Sleep Matters
④ Mental Health and Social Media
정답: ③ Why Good Sleep Matters
해설:
이 글은 수면의 중요성을 다루고 있으며, 수면이 우리 신체와 정신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부족할 경우 발생하는 다양한 부정적 결과들을 설명합니다. 글에서는 수면이 조직의 복구와 기억 통합에 필수적이라는 점, 그리고 부족할 경우 면역력 저하, 우울증, 집중력 저하 등 여러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는 사실을 구체적으로 제시합니다.
①번 선택지인 "The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는 신체 활동의 이점을 다루는 것으로, 글의 주제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②번 선택지 "How to Improve Your Diet" 역시 식단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수면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본문과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④번 선택지 "Mental Health and Social Media"는 정신 건강과 소셜 미디어의 관계를 다루는 제목으로, 글의 핵심 주제인 '수면'과는 관련성이 부족합니다.
반면, ③번 "Why Good Sleep Matters"는 바로 글의 내용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수면의 중요성과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효과를 모두 포괄하는 제목으로, 독자에게 수면의 가치를 재인식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이 제목은 수면의 역할을 '왜 중요한가'라는 질문 형태로 제시하여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본문 내용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이와 같이 글의 핵심 주제와 주요 논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③번 선택지가 가장 적절하며, 독자가 글의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글의 결론 부분에서도 "maintaining good sleep hygiene"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제목 역시 수면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정리되어야 하며, ③번이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합니다.
[독해 문제 05]
문제:
Working remotely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Many people enjoy the freedom and flexibility that remote work offers. It allows them to work from anywhere and often ① helps improve their work-life balance. However, some people find it difficult to separate work from personal life, which ② leads to increased stress. Others miss the social interaction of the office and feel ③ isola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remote workers to establish clear boundaries and ④ ignore communication with their teams.
문맥상 가장 어색한 부분을 고르시오.
정답: ④ ignore communication with their teams
해설:
이 문장은 재택근무(remote work)의 장단점을 설명하며, 재택근무의 자유로움과 유연함이 일과 삶의 균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과 동시에, 개인 생활과 업무의 경계를 명확히 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언급합니다.
①번 "helps improve their work-life balance"는 재택근무의 장점을 긍정적으로 기술한 부분으로,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일함으로써 업무와 개인 생활의 균형을 찾으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점과 일치합니다.
②번 "leads to increased stress"도, 업무와 개인 생활을 구분하지 못할 경우 스트레스가 증가할 수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③번 "feel isolated"는 사무실에서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잃어버린 상황에서 고립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는데, 이는 재택근무의 단점을 잘 보여주는 표현입니다.
그러나 ④번 "ignore communication with their teams"는 문맥상 매우 어색합니다. 재택근무 상황에서 팀과의 소통은 오히려 중요한 요소로, 효과적인 협업과 정보 공유를 위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실제 상황에서는 "ignore" 대신 "maintain"이나 "enhance" 같은 표현이 사용되어야 하며, 팀과의 지속적인 소통은 재택근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즉, 이 부분은 문맥과 상반된 의미를 전달하여 글 전체의 논리 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어색한 부분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글의 전개에서 재택근무의 문제점을 다룰 때, 경계 설정과 소통 강화가 해결책으로 제시되어야 하는데, "ignore communication"은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뿐이라는 점에서 선택지가 문맥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④번이 문맥상 가장 어색한 부분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독자가 글의 흐름을 통해 적절한 해결책(예: 팀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유추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장치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독해 문제 06]
문제:
In a world where people are constantly exposed to advertising and media messaging,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distinguish genuine needs from manufactured desires. Corporations invest billions in marketing strategies aimed at making consumers feel incomplete unless they purchase certain products. This tactic often relies on the creation of artificial problems for which the company offers a solution. As a result, consumers may begin to define happiness and success in terms of consumption, rather than personal growth or fulfillment. In such a context, the most effective way to resist manipulation is to cultivate self-awareness and critical thinking so that one can recognize when a "need" is actually being implanted. Without such awareness, __________.
선택지:
① individuals can make more rational purchasing decisions
② people may fall into a cycle of endless consumption
③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oycott manipulative brands
④ businesses will lose their influence over the public
정답: ② people may fall into a cycle of endless consumption
해설:
이 문장은 광고와 미디어 메시지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현대 사회에서 소비자가 진정한 필요와 인위적으로 조작된 욕구를 구분하기 어렵게 되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특히, 기업들이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여 소비자에게 특정 제품을 구매하지 않으면 자신이 불완전하다고 느끼도록 만드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소비자들은 행복과 성공을 개인의 성장이 아닌 소비 활동에 의존하게 된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문장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the most effective way to resist manipulation" 즉, 이러한 조작에 저항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기 인식과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것을 제안합니다. 이어지는 빈칸에는 만약 이러한 인식이 결여될 경우 어떤 결과가 발생할지 설명해야 합니다.
①번 선택지는 "individuals can make more rational purchasing decisions"로, 자기 인식이 없더라도 합리적인 구매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되는데, 이는 오히려 문제의 원인인 소비자 조작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아니라 결과에 어울리지 않습니다.
③번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boycott manipulative brands"는 소비자들이 조작된 브랜드를 보이콧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인데, 글에서는 오히려 소비자가 지속적인 소비 사이클에 빠져들 가능성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부적절합니다.
④번 "businesses will lose their influence over the public"는 기업의 영향력이 상실된다는 내용으로, 문맥상 소비자의 행동 변화에 초점을 맞춰야 하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②번 "people may fall into a cycle of endless consumption"은 광고와 마케팅의 지속적 영향 아래서 소비자들이 끝없이 소비하게 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을 적절하게 설명합니다. 이는 글에서 제시된 맥락과 매우 잘 부합하며, 자기 인식과 비판적 사고의 결여가 소비자로 하여금 소비에 중독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문장의 흐름과 논리적 연결, 그리고 마케팅 조작의 부정적 결과를 고려할 때, ②번 선택지가 가장 자연스럽고 적절한 결론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광고와 미디어 메시지에 노출되어 조작된 욕구에 의해 소비 패턴이 왜곡되는 현상을 잘 반영한 답변입니다.
[독해 문제 07]
문제:
The idea of multitasking is deeply ingrained in modern society. Many people take pride in being able to handle several tasks at once, believing it to be a sign of efficiency and competence. However, research in cognitive psychology has shown that the brain is not truly capable of focusing on multiple complex tasks simultaneously. Instead, it switches back and forth between them, often resulting in decreased performance and increased mental fatigue. Despite this evidence, the myth of multitasking persists, largely because it creates the illusion of productivity. In reality, __________.
선택지:
① dividing one’s attention increases mental clarity
② doing several things at once promotes better outcomes
③ multitasking can actually hinder both speed and accuracy
④ our brains have evolved to process various inputs efficiently
정답: ③ multitasking can actually hinder both speed and accuracy
해설:
이 문장은 현대 사회에서 널리 퍼져 있는 멀티태스킹의 개념과, 이를 둘러싼 인식의 차이를 다루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효율성과 능력을 증명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지만, 인지심리학 연구는 반대의 결과를 보여줍니다. 연구에 따르면, 사람의 뇌는 복잡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실제로는 작업 간 전환 과정에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작업 수행 속도와 정확도가 감소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①번 선택지 "dividing one’s attention increases mental clarity"는 주의를 분산시키면 오히려 명료성이 증가한다는 의미로, 연구 결과와 정반대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②번 선택지 "doing several things at once promotes better outcomes"는 멀티태스킹의 긍정적 효과를 주장하는 표현으로, 글의 근거와 맞지 않습니다.
④번 선택지 "our brains have evolved to process various inputs efficiently"는 현대인의 뇌가 다양한 입력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연구에서 밝혀진 멀티태스킹의 한계를 부정하는 내용입니다.
반면, ③번 "multitasking can actually hinder both speed and accuracy"는 연구 결과를 그대로 반영하는 내용입니다. 즉, 뇌가 한 번에 여러 작업을 처리하려고 할 때 오히려 전환 과정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결국 작업 속도와 정확도가 모두 저하된다는 점을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문장의 전개 순서를 보면, 첫 부분에서는 멀티태스킹이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사회적 현상을 언급하고, 이어서 연구 결과를 소개하며 실제로는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난다고 설명합니다. 마지막에 "In reality"라는 연결어를 사용함으로써, 현실의 효과를 재차 강조하고 있으며, 이때 가장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결론은 ③번입니다.
따라서, 글의 논리 흐름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멀티태스킹이 실제로 효율을 떨어뜨리는 부정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을 가장 잘 설명하는 ③번 선택지가 정답임을 알 수 있습니다.
[독해 문제 08]
문제:
The phenomenon known as “groupthink” can lead to poor decision-making within organizations. It occurs when the desire for harmony or conformity in a group results in irrational or dysfunctional outcomes. Members suppress dissenting viewpoints, fail to critically analyze alternatives, and ultimately make flawed choices. This is often reinforced by strong leadership or a highly cohesive group structure. Ironically, the more cohesive and unified the group, the more vulnerable it is to this kind of flawed reasoning. To prevent this, organizations must actively encourage diverse opinions and constructive disagreement. Otherwise, __________.
선택지:
① they risk alienating members with minority views
② consensus becomes easier to achieve
③ creative ideas will naturally emerge
④ the illusion of unanimity may override sound judgment
정답: ④ the illusion of unanimity may override sound judgment
해설:
이 문장은 '그룹싱크(groupthink)'라는 현상을 설명하며,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과도한 일치감을 추구함으로써 비판적 사고가 억제되고, 그 결과 비합리적 의사결정이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합니다. 글은 그룹 내에서 이견이 억제되고, 대안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단일한 의견이 우세해지는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①번 선택지 "they risk alienating members with minority views"는 소수 의견을 가진 구성원들이 소외될 위험을 언급하지만, 이는 그룹싱크의 결과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문제의 핵심은 “잘못된 판단(overriding sound judgment)”에 있습니다.
②번 "consensus becomes easier to achieve"는 오히려 긍정적으로 들릴 수 있으나, 그룹싱크의 부정적 측면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부적절합니다.
③번 "creative ideas will naturally emerge"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도출된다는 의미로, 그룹싱크와는 반대되는 효과를 암시하여 문맥과 맞지 않습니다.
반면, ④번 "the illusion of unanimity may override sound judgment"는 조직 내에서 구성원들이 마치 모두가 같은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되어, 비판적 사고와 타당한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현상을 정확히 설명합니다.
글의 문맥에 따르면, 조직이 다양한 의견을 장려하지 않을 경우, 구성원들은 서로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고 단일 의견에 집착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실제로는 비논리적이고 오류가 많은 결정이 내려질 위험이 커지며, 이는 곧 ‘sound judgment(타당한 판단)’를 무시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④번 선택지가 가장 자연스럽고 논리적인 결론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그룹싱크가 가져오는 위험성을 명확하게 드러내며, 다양한 의견을 장려해야 한다는 예방책과도 잘 맞물립니다.
이와 같이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성과 건설적인 비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맥 속에서 ④번 선택지가 가장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독해 문제 09]
문제:
Humans have a natural tendency to prefer information that confirms their existing beliefs, a phenomenon known as confirmation bias. When encountering new evidence, individuals are more likely to notice, remember, and accept information that supports their opinions, while dismissing or forgetting contradictory evidence. This cognitive bias is particularly dangerous in the digital age, where algorithms on social media platforms reinforce this pattern by curating content based on users' preferences. Over time, this can create echo chambers, where people are only exposed to information that aligns with their views. Consequently, __________.
선택지:
① users gain a balanced perspective on important issues
② the ability to engage in civil discourse improves
③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trengthens critical thinking
④ public polarization and misinformation may intensify
정답: ④ public polarization and misinformation may intensify
해설:
이 문장은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이라는 인지적 현상을 설명하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기존 신념을 확인해주는 정보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언급합니다. 특히, 디지털 시대에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이 이러한 편향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자신과 일치하는 정보만을 접하게 되는 '에코 챔버(echo chamber)' 현상을 초래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①번 선택지 "users gain a balanced perspective on important issues"는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한다는 긍정적 효과를 암시하는데, 이는 확증 편향과 에코 챔버의 부정적 결과와 정반대이므로 부적절합니다.
②번 "the ability to engage in civil discourse improves" 역시 사회적 대화 능력이 향상된다는 긍정적인 결과로, 문맥의 부정적 흐름과 맞지 않습니다.
③번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trengthens critical thinking"는 다양한 정보가 비판적 사고를 강화한다는 내용으로, 에코 챔버 현상과는 반대되는 효과를 설명하는 선택지입니다.
반면, ④번 "public polarization and misinformation may intensify"는 확증 편향이 초래하는 부정적 결과를 정확하게 표현합니다. 즉, 동일한 신념을 가진 정보만 접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걸쳐 극단적 견해가 강화되고, 이로 인해 공공 영역에서 극심한 양극화와 잘못된 정보의 확산이 발생할 위험이 커진다는 점을 명확히 설명합니다.
문장의 전개는 먼저 인간의 인지적 한계와 확증 편향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어서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의 역할로 인해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분열과 잘못된 정보의 확산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음을 논리적으로 이끌어내며, ④번 선택지가 그 결론과 가장 부합합니다.
따라서, 문맥과 논리 전개를 고려할 때, 확증 편향으로 인한 부정적 사회 효과를 가장 잘 설명하는 ④번이 정답입니다.
[독해 문제 10]
문제: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undoubtedly brought about remarkable improvements in our lives—from medical breakthroughs to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However, these benefits are often accompanied by ethical dilemmas. For instance, artificial intelligence raises questions about privacy, employment, and even the definition of humanity. Genetic editing tools allow us to correct diseases, but they also open the door to designer babies and potential abuse. The challenge lies not in halting technological progress, but in developing the moral and legal frameworks to manage it responsibly. Without such frameworks, __________.
선택지:
① innovation will naturally regulate itself over time
② ethical concerns will remain theoretical and irrelevant
③ society may face unintended and irreversible consequences
④ scientific research will inevitably come to a halt
정답: ③ society may face unintended and irreversible consequences
해설:
이 문장은 기술 발전이 가져다 주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의 예시를 통해, 기술의 발전이 우리 생활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동시에, 개인정보 보호, 고용, 인간의 정의 등 복잡한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문장의 후반부에서는 기술 발전을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이를 책임감 있게 관리하기 위한 도덕적, 법적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체계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일까요?
①번 선택지 "innovation will naturally regulate itself over time"은 기술 발전이 저절로 규제될 것이라는 긍정적 미래를 암시하지만, 글의 논지와는 맞지 않습니다.
②번 "ethical concerns will remain theoretical and irrelevant"은 윤리적 문제들이 단순 이론에 머무를 것이라는 주장으로, 실제로 기술의 영향력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무시하는 내용이므로 부적절합니다.
④번 "scientific research will inevitably come to a halt"는 기술 발전 자체가 중단된다는 극단적인 해석으로, 글의 주장이 기술 발전을 막지 말고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점과 모순됩니다.
반면, ③번 "society may face unintended and irreversible consequences"는 윤리적·법적 체계가 부재할 경우, 기술 발전이 가져올 부작용이 의도치 않게 그리고 돌이킬 수 없는 결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는 점을 명확히 표현합니다.
문장의 흐름은 기술 발전의 이면에 존재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지적한 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리 전개에 따라, 적절한 관리 체계가 마련되지 않으면 사회 전체가 돌이킬 수 없는 부정적 결과에 직면할 수 있음을 암시하는 ③번 선택지가 가장 적절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③번이며, 이는 기술 발전의 긍정적 이면과 함께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함을 독자에게 경고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독해 문제 11]
문제:
Throughout history, the concept of justice has evolved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In ancient times, justice was often equated with retribution, with punishments meant to mirror the severity of the crime. Over time, however, societies began to emphasize rehabilitation and fairness, recognizing that justice should also serve the purpose of restoring balance rather than merely exacting revenge. Today, the justice system faces new challenges, such as systemic inequality and over-incarceration. In order to remain relevant and effective, the system must be open to reform and guided by evolving ethical standards. Otherwise, __________.
선택지:
① the legal system will become more efficient and impartial
② fairness will be consistently upheld across all cases
③ justice may be seen as outdated or even oppressive
④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will naturally increase
정답: ③ justice may be seen as outdated or even oppressive
해설:
이 문장은 정의(justice)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설명하며, 과거의 보복적 성격에서 벗어나 재활과 공정성을 강조하는 현대적 정의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현재 정의 체계는 체계적 불평등이나 과도한 수감 등의 새로운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혁과 윤리적 기준의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
문장의 마지막 부분은 만약 이러한 개혁과 윤리적 기준의 변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발생할 부정적 결과를 묻고 있습니다.
①번 선택지 "the legal system will become more efficient and impartial"은 긍정적인 결과를 암시하지만, 이는 개혁의 부재 시에 발생할 결과와는 맞지 않습니다.
②번 "fairness will be consistently upheld across all cases" 역시 긍정적인 결과로, 글의 경고 메시지와 상반됩니다.
④번 "public trust in law enforcement will naturally increase"는 신뢰가 저절로 증가한다는 주장을 내포하는데, 실제로 문제의 해결 없이 현 체계가 계속된다면 오히려 신뢰 하락이 예상되므로 부적절합니다.
반면, ③번 "justice may be seen as outdated or even oppressive"는 만약 시스템이 시대의 변화에 맞춰 개혁되지 않는다면, 기존의 정의 체계가 더 이상 공정하거나 현대 사회에 부합하지 않으며, 오히려 구시대적인 억압적 요소로 인식될 위험이 있다는 점을 잘 설명합니다.
글의 전개는 정의의 진화와 함께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변화가 없을 경우 정의 체계 자체가 시대에 뒤떨어진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따라서, ③번 선택지는 문맥의 경고 메시지와 논리적 전개에 가장 부합하며, 정의 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는 최종 결론으로 적절합니다.
[독해 문제 12]
문제: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ten involves trade-offs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While industrial development can generate employment and raise living standards, it can also lead to deforestation, pollution, and loss of biodiversity. For developing nations, the tension between these goals is particularly acute, as they seek to lift their populations out of poverty without causing irreparable damage to their natural resources. This is why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green technology are essential. By sharing knowledge and supporting sustainable practices, the global community can help ensure that development does not come at the cos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Without such efforts, __________.
선택지:
① economic development will automatically protect the environment
② all countries will enjoy the benefits of industrialization equally
③ the poorest regions may bear the brunt of environmental collapse
④ environmental damage will be limited to developed nations
정답: ③ the poorest regions may bear the brunt of environmental collapse
해설:
이 문장은 경제 성장과 환경 보전 간의 상충 관계를 다루며, 산업 발전이 고용 창출과 생활 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반면, 동시에 산림 파괴, 오염, 생물 다양성 상실 등 심각한 환경 문제를 초래할 수 있음을 설명합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우, 빈곤 해소를 위해 산업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도 환경 파괴의 위험에 더욱 취약하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①번 선택지 "economic development will automatically protect the environment"는 경제 발전이 환경을 자동으로 보호한다는 내용으로, 글의 주된 논지와 전혀 상반됩니다.
②번 "all countries will enjoy the benefits of industrialization equally"는 산업화의 혜택이 국가마다 균등하게 분배된다는 주장인데, 이는 현실과 맞지 않으며 글에서 특히 개발도상국의 취약성을 강조하는 부분과도 어긋납니다.
④번 "environmental damage will be limited to developed nations"는 환경 피해가 선진국에만 국한된다는 의미로, 실제로는 산업 발전의 부작용이 빈곤한 지역,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심각하게 나타난다는 글의 주장과 반대입니다.
반면, ③번 "the poorest regions may bear the brunt of environmental collapse"는 국제 협력과 녹색 기술 도입 없이는 환경 파괴의 부담이 가장 약한 국가나 지역, 즉 빈곤한 지역에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글의 흐름은 경제 발전과 환경 보전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국제 사회의 협력 필요성을 강조하며, 만약 이러한 노력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경 피해의 부담이 경제적으로 취약한 지역에 집중될 위험이 있음을 경고합니다.
따라서, ③번 선택지가 글의 전체적인 논리와 경고 메시지를 가장 잘 반영하며, 국제 협력과 지속 가능한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최종 결론으로 적절합니다.
각 문항별 해설은 문제의 문맥 분석과 선택지 간 비교, 그리고 글 전체의 논리적 흐름을 바탕으로 왜 해당 선택지가 가장 적절한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해설들을 통해 독해 문제의 풀이 전략과 핵심 포인트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insight476.tistory.com/58
국가직 대비 동형모의고사 1,회 2회
1회1.다음 밑줄 친 단어의 의미와 가장 가까운 것은?You have taken an atypical case that does not prove anything. ① abnormal ②abyss ③agnostic ④taciturn 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단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The current lev
insight4776.tistory.com
https://insight4776.tistory.com/59
국가직 대비 동형모의고사 3,회 4회
3회 1.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The elaborate bridal costumes of the Indians are __________ from mother to daughter. ① taken after ② handed down ③ parted with ④ pulled over 2. 밑줄 친 단어와 의미가 가장 가까
insight4776.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