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3. 20:40ㆍ공무원 영어 이야기
01 글의 목적
1. 우선은 글의 마지막 부분에 중점을 두되, 거기에 목적이 드러나 있지 않은 경우는 전 체적인 글에서 세부 사항을 종합하여 목적을 찾는다.
글이란 반드시 그 글을 쓴 목적이 있게 마련이다. 물론 의미없이 꺼적이는 낙서도 있지만 수능에 출제되는 하나의 완결된 글이라면 반드시 그 글을 쓴 목적이 존재한다.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해서, 남을 설득하기 위해서, 감사의 인사를 전하기 위해서 등등 글을 쓰는 목적은 매우 다양하다.
대체로 글의 목적은 글의 마지막 부분에 드러나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여러분이 다단계에 빠져 급전이 필요한데, 졸업 후 연락을 한 번도 한 적이 없는 중학교 동창에게 돈을 빌려달라는 내용의 편지를 쓴다고 가정해 보자. 오랜만에 연락하는 친구에게 단도직입적으로 처음부터 ‘돈 좀 있냐?’라고 해서는 그 친구에게 돈을 빌려낼 수 없다는 건 경험상으로도 알고 있을 것이다. 여러분은 처음엔 요새 어떻게 지내냐, 요새 날씨가 어떻다는 등 공연한 인사말이나 최근 근황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마지막 즈음에 가서야 슬쩍 자신의 의도를 드러낼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전개 방식이다.
따라서 의도, 목적을 묻는 문제는 우선은 마지막 부분에 중점을 두되, 그곳에서 의도나 목적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전체적인 글에서 세부 사항을 종합하여 목적을 찾는다.
2. 특별히 필자가 자신의 의견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과 역접 연결사 뒤쪽 내용에 유의 한다.
특별히 필자가 ‘~을 해야한다’라거나 ‘~이 중요하다’라는 등 자신의 의견/생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이 있다. 이런 부분에 유의하면 글의 목적을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역접 연결사 뒤에도 목적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however나 but, yet과 같은 표현 뒤를 유의해야 한다.
필자의 의견(주장)을 나타내는 표현 |
● 가치 판단에 관한 형용사 : important, right, wrong, good, bad... ● 당위(~해야 한다)를 나타내는 표현 : must, should, have to, had better... ● 필요성을 나타내는 표현 : be necessary, be essential, need to, be required ... |
필자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
● I think / I believe / I wish / I hope ~ ● In my opinion / (As) for me / (As) to me / As far as I'm concerned ● 명령법, 강조 표현, 최상급 표현 |
3. 글이 주장과 근거로 구성되어 있다면, 필자가 주장하는 내용(=글의 요지)이 곧 글의 목적이다.
마지막으로 글이 주장과 근거로 이루어져 있을 때, 주장 부분이 곧 글의 요지요, 글의 목적이다. 그러한 주장을 하기 위해 그런 글을 쓴 것이다. 따라서 주장 부분에 유의하여 답을 고르면 된다.
02 주제 / 제목
주제
1. 주제는 일반적 진술(=주제문)에서 찾는다.
① 예시는 무조건 구체적 진술이다. 글에 ‘예시’가 등장한다면 예시에 관한 내용은 주제가 될 수 없다.
② 글에서 A와 B를 함께 다루고 있다면, A에만 관련된 내용 혹은 B에만 관련된 내용은 주제가 될 수 없다.
③ 글에 ‘and, 'also', 'in addition', 'besides'와 같은 표현이 나오면 이것은 필자가 둘 이상을 열거 하고 있다는 신호이다. 열거되는 내용은 무조건 구체적 진술이므로 열거되는 내용 일부에만 관련된 것은 주제가 될 수 없다.
2. 너무 포괄적/일반적인 개념을 주제로 고르면 안 된다.
주제 이외에 다른 것까지 포괄할 수 있는 개념은 주제가 될 수 없다. 가령 글은 ‘시’에 대한 내용인데 ‘문학’을 답으로 고르면 안 된다.
3. 글이 구체적 진술로만 구성 되어 있는 경우, 주제는 구체적 진술들을 전부 포괄할 수 있는 것을 고른다.
주제문 없이 구체적인 진술로만 이루어진 글이 있다. 하지만 주제문이 없다고 해서 주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주제문이 없다면 구체적인 진술들을 종합하여 주제를 찾아내야 한다.
4. 글이 주장과 근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주제는 주장에서 찾는다.
제목
1. 글의 주제를 찾은 뒤 와 같은 의미의 것을 선지에서 고른다.
제목은 글을 대표하는 것이다. 수능이나 공무원시험에서는 정답의 객관성과 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지나치게 상징적이거나 창의적인 제목은 사용하지 않는 편이다. 따라서 제목 찾기 문제는 결국 주제 찾기 문제와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글의 주제를 찾은 뒤 이와 같은 의미인 것을 선지에서 고르면 된다.
4. 글이 주장과 근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주제는 주장에서 찾는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제목은 그 특성상 간결하면서도 인상적이어야 하므로 주제보다 다소 포괄적일 수 있다는 점이다.
'공무원 영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서문제 공무원 전용 (4) | 2025.04.03 |
---|---|
국가직 대비 총정리 (9) | 2025.04.02 |
[공무원 영어 생활영어 기출 변형문제 10제] 실전동형! 길어진 지문으로 완벽 대비 (1) | 2025.03.31 |
국가직 대비 동형모의고사 3,회 4회 (10) | 2025.03.30 |
국가직 대비 동형모의고사 1,회 2회 (4)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