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3. 12:32ㆍ편입영어
문1.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While modern medicine has brought about remarkable advancements in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many public health experts argue that the greatest health challenge today lies elsewhere. In fact,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most developed countries are not infections but chronic diseases such as heart disease, diabetes, and cancer. These diseases are often linked to lifestyle factors such as diet, exercise, and smoking. Furthermore, as populations age and healthcare systems become strained, preventing these chronic conditions becomes even more critical. Therefore, improving public health today depends less on eradicating germs and more 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discovering new antibiotics
② promoting healthier behaviors
③ improving surgical procedures
④ controlling international travel
문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s humans, we are naturally drawn to patterns. We tend to see connections between events, even when none exist, and we often construct narratives to make sense of random occurrences. This pattern-seeking tendency is useful in many ways — it helps us predict outcomes and make decisions based on past experiences. However, it also has a downside: it can lead us to believe in __________________________, such as conspiracy theories or supernatural explanations, which are not supported by evidence. These mistaken beliefs can influence our decisions and behaviors in harmful ways, especially when amplified by social media or misinformation.
① beneficial habits
② rational conclusions
③ meaningful coincidences
④ false patterns
문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Many organizations today emphasize innovation as the key to staying competitive in the marketplace. Yet, despite this emphasis, innovation efforts often fail to deliver the expected results. One common reason is that companies focus too much on brainstorming new ideas while neglecting the structures and systems that support innovation. Without a foundation of clear communication, aligned goals, and effective project management, even the best ideas can falter. In reality, what enables innovation is not just creativity but __________________________: the processes, leadership, and culture that allow idea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effectively.
① organizational support
② consumer preferences
③ digital marketing
④ external investment
문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Although the internet has allowed people to connect with others across the world, some researchers argue that it has also contributed to a sense of isolation. Online interactions often lack the depth and nuance of face-to-face conversations. Moreover, constant exposure to curated content can lead people to compare themselves unfavorably with others. As a result, increased connectivity has ironically been associated with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stronger social networks
② improved emotional health
③ greater feelings of loneliness
④ reduced screen time
문5.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history of science is full of moments when accepted truths were overturned by new discoveries. From the heliocentric model of the solar system to the theory of evolution, each breakthrough challenged long-standing beliefs. This demonstrates that science is not a fixed body of knowledge but a dynamic process of inquiry. Therefore, scientific understanding is best seen as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immune to change
② a set of eternal truths
③ subject to constant revision
④ irrelevant to daily life
문6.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Good leadership is often associated with decisiveness and confidence. However, recent studies suggest that the most effective leaders are those who are also good listeners. By actively seeking out different perspectives and showing empathy, they build trust and foster collaboration. Thus, the essence of strong leadership may lie not in giving orders but in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dominating team discussions
② embracing rigid structures
③ facilitating open communication
④ ignoring employee feedback
문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Economic growth is often used as a primary measure of a country’s success. However, critics argue that this focus can overlook other important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health, social equality, and quality of life. A nation may have a booming economy, but if its citizens are unhappy or ecosystems are collapsing, the success is questionable. Therefore, some suggest that we need to redefine progress by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limiting international trade
② relying on gross domestic product
③ considering broader indicators of well-being
④ reducing government spending
문8.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Creativity is often thought of as a mysterious talent possessed by a few. Yet research shows that creativity is more of a skill than an innate gift. It can be cultivated through practice, exposure to diverse ideas, and even failure. In fact, failure often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creative process, pushing individuals to think differently and try new approaches. This suggests that creativity thrives in environments th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discourage experimentation
② penalize mistakes severely
③ embrace trial and error
④ reward routine behavior
문9.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Climate change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essing global issues of our time. While government policies and international agreements are crucial, individual actions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Everyday choices — from the way we travel to the products we buy — can collectively make a big difference. Therefore, addressing climate change effectively requires not only political will but also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global denial of scientific evidence
② active participation by citizens
③ investment in military technology
④ reduced interest in sustainability
문1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e human brain is wired to remember stories more effectively than facts or statistics. When information is embedded in a narrative, it becomes more relatable and easier to recall. This is why advertisements, speeches, and even scientific presentations often use storytelling techniques. Stories engage emotions and provide context, making the message stick. Consequently, storytelling is a powerful tool for 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① avoiding public attention
② suppressing emotional responses
③ enhancing communication and learning
④ focusing only on data analysis
해설
문1
[정답] ②
[해석] 현대 의학은 전염병 치료에 있어서 놀라운 발전을 이뤄냈지만, 많은 공중보건 전문가들은 오늘날의 가장 큰 건강 문제가 다른 곳에 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사망의 주요 원인은 전염병이 아니라 심장 질환, 당뇨병, 암과 같은 만성질환이다. 이러한 질환은 종종 식습관, 운동, 흡연과 같은 생활 습관 요인과 관련이 있다. 게다가 인구 고령화와 의료 시스템의 부담 증가로 인해 이러한 만성 질환의 예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 공중 보건을 향상시키는 것은 병원균을 제거하는 것보다는 건강한 행동을 장려하는 데 더 의존한다.
[해설] 글은 전염병보다는 만성 질환이 오늘날의 주요 건강 문제라고 지적하며, 그 원인이 생활 습관에 있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건강한 행동을 촉진하는 것’이 공중보건 향상의 핵심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는 정답 ②번이 정확히 지문 내용과 일치함을 보여준다.
[어휘]
remarkable 놀랄 만한, 뛰어난 · chronic 만성의 · strain 부담, 압박 · eradicate 근절하다 · promote 장려하다
문2
[정답] ④
[해석] 인간은 본능적으로 패턴에 끌린다. 우리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사건들 사이에서 연관성을 보고, 종종 무작위적인 일들을 이해하기 위해 이야기 구조를 만든다. 이러한 패턴 탐색 성향은 여러 면에서 유용하다. 예측하고,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이것에는 단점도 있다. 증거가 뒷받침되지 않는 음모론이나 초자연적 설명과 같은 잘못된 패턴을 믿게 만들 수 있다. 특히 소셜미디어나 잘못된 정보에 의해 확대될 때 이러한 믿음은 해로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해설] 글의 핵심은 인간이 무작위적 현상 속에서도 의미를 찾으려는 경향이 있지만, 이 경향이 잘못된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빈칸에는 이러한 ‘오류’를 지칭하는 표현이 와야 하며, 정답 ④번 'false patterns'가 가장 적절하다.
[어휘]
pattern 패턴, 양식 · occurrence 발생 · narrative 이야기 · conspiracy theory 음모론 · amplify 확대하다
문3
[정답] ①
[해석] 많은 조직들이 오늘날 시장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으로 혁신을 강조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혁신 노력은 종종 기대한 결과를 내지 못한다. 그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기업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데만 집중하고, 혁신을 뒷받침하는 구조와 시스템을 소홀히 하기 때문이다. 명확한 소통, 목표의 정렬, 효과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기반으로 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도 실패할 수 있다. 실제로 혁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단지 창의성이 아니라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발전시키고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과정, 리더십, 문화와 같은 조직적 지원이다.
[해설] 혁신은 단순한 아이디어 발상만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그것을 뒷받침하는 조직적인 기반이 필요하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organizational support'가 된다.
[어휘]
innovation 혁신 · neglect 무시하다 · foundation 기반 · alignment 정렬 · implement 실행하다
문4
[정답] ③
[해석] 인터넷은 전 세계 사람들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했지만, 일부 연구자들은 이것이 고립감을 심화시킨다고 주장한다. 온라인 상의 상호작용은 대면 대화의 깊이나 뉘앙스를 종종 결여하고 있다. 게다가, 잘 꾸며진 콘텐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사람들은 자신을 남들과 부정적으로 비교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연결성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역설적으로 더 큰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
[해설] 인터넷이 연결을 증가시켰음에도 사람들은 더 외로워진다는 ‘역설’이 중심 주제다. 이는 “greater feelings of loneliness(더 큰 외로움)”이라는 ③번 선택지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휘]
curated 선별된 · isolation 고립 · nuance 뉘앙스 · exposure 노출 · ironically 역설적으로
문5
[정답] ③
[해석] 과학의 역사는 기존의 진실들이 새로운 발견들에 의해 뒤집힌 사례들로 가득하다. 태양 중심설에서부터 진화론까지, 각 혁신은 오랜 믿음을 도전하게 만들었다. 이는 과학이 고정된 지식의 집합이 아니라, 탐구의 역동적인 과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과학적 이해는 지속적으로 수정되는 대상으로 보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해설] 과학이 절대적인 진리의 집합이 아니라 끊임없이 수정되고 변화하는 과정임을 강조하므로, ③번 ‘subject to constant revision’이 정답이다.
[어휘]
overturn 뒤엎다 · breakthrough 돌파구 · inquiry 탐구 · dynamic 역동적인 · revision 수정
문6
[정답] ③
[해석] 좋은 리더십은 종종 결단력과 자신감과 연관된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장 효과적인 리더는 잘 듣는 사람이라고 한다. 다양한 관점을 적극적으로 구하고 공감을 보여줌으로써 그들은 신뢰를 구축하고 협업을 촉진한다. 따라서 강한 리더십의 본질은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열린 소통을 촉진하는 데 있다.
[해설] 글의 중심은 ‘듣는 리더십’이며, 신뢰와 협업을 이끄는 핵심이 ‘소통’임을 강조한다. 이에 가장 잘 부합하는 선택지는 ③ 'facilitating open communication'이다.
[어휘]
decisiveness 결단력 · empathy 공감 · foster 촉진하다 · trust 신뢰 · facilitate 촉진하다
문7
[정답] ③
[해석] 경제성장은 종종 한 국가의 성공을 평가하는 주요 기준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비판자들은 이러한 초점이 환경 건강, 사회적 평등, 삶의 질 같은 다른 중요한 요소들을 간과한다고 주장한다. 경제가 호황이라도 국민이 불행하거나 생태계가 붕괴된다면 진정한 성공이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진보를 재정의하기 위해서는 더 넓은 복지 지표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해설] 단순한 경제 성장 외에 삶의 질, 평등,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내용이므로, ③ ‘considering broader indicators of well-being’이 정답이다.
[어휘]
critic 비판자 · overlook 간과하다 · equality 평등 · redefine 재정의하다 · indicator 지표
문8
[정답] ③
[해석] 창의성은 종종 소수만이 가진 신비한 재능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창의성은 타고난 능력이라기보다는 연습과 다양한 아이디어에 대한 노출, 그리고 실패를 통해 길러지는 기술이다. 사실 실패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시도하게 만들며 창의적 사고를 자극한다. 이는 창의성이 시행착오를 받아들이는 환경에서 더욱 잘 자란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설] 창의성을 위한 핵심 조건으로 ‘실패를 수용하는 환경’을 제시하므로, ③ ‘embrace trial and error’가 가장 적절하다.
[어휘]
cultivate 기르다 · exposure 노출 · innate 타고난 · stimulate 자극하다 · trial and error 시행착오
문9
[정답] ②
[해석] 기후 변화는 오늘날 가장 시급한 글로벌 문제 중 하나로 부상했다. 정부 정책과 국제 협약이 중요하지만, 개인의 행동도 큰 역할을 한다. 우리가 어떻게 이동하고, 무엇을 소비하느냐는 선택들이 모이면 큰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지뿐만 아니라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필요하다.
[해설] 정치와 제도만큼 시민 개개인의 실천이 중요하다는 맥락이므로, ② ‘active participation by citizens’가 정확한 정답이다.
[어휘]
pressing 긴급한 · agreement 협약 · collectively 집단적으로 · sustainability 지속 가능성 · participation 참여
문10
[정답] ③
[해석] 인간의 뇌는 사실이나 통계보다 이야기를 더 잘 기억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정보가 서사 구조 안에 있을 때, 그것은 더 쉽게 공감되며 기억된다. 이것이 광고, 연설, 과학 발표에조차 이야기 기법이 활용되는 이유이다. 이야기는 감정을 자극하고 맥락을 제공하여 메시지를 더 잘 전달하게 만든다. 결과적으로, 스토리텔링은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을 강화하는 강력한 도구이다.
[해설] 스토리텔링의 효과가 ‘기억, 전달, 공감’에 있음을 강조하므로, 커뮤니케이션과 학습 향상이라는 ③번이 적절하다.
[어휘]
wired 설계된 · embed 삽입하다 · engage 관여하다 · recall 기억하다 · enhance 향상시키다
'편입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칸문제 풀이 (2) | 2025.04.10 |
---|---|
편입 어휘문제 (7) | 2025.04.08 |
🏆 편입영어 구문, 이렇게 보면 쉽다! 필수 해석 포인트 총정리 (8) | 2025.04.01 |
편입영어 논리문제 20선 (5) | 2025.03.31 |
편입영어 독해 연습문제 4세트 + 상세 해설|성균관대·가천대 수준 기출 스타일 완벽 반영 (14) | 2025.03.31 |